경제

항공등화시설과 항공정보통신시설에 대하여

고운뉴스 2021. 2. 17. 08:22

항공등화시설

항공등화시설은 야간이나 기상상태가 좋지 않은 주간에 불빛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 또는 착륙을 돕기 위한 항행안전시설로서 비행장의 위치나 활주로와 같은 착륙시설의 위치와 거리를 표시해주는 등화시설과 착륙하는 항공기에 착륙방향이나 진입각도를 알려주는 등화시설이 있다. 

 

항공등화시설은 그 용도에 따른 40여 가지의 등화시설이 있는데, 크게 나누면 공항의 위치 또는 공항까지의 거리를 표시해주는 등화시설, 항공기의 이륙 또는 착륙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기위한 등화시설, 항공기의 주기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등화시설로 구분된다. 

 

첫째, 공항의 위치 또는 거리를 표시해주는 등화시설에는 비행장등대, 비행장식별등대, 진입등화 시스템, 진입각지시 등화시설, 접지구역 등화시설 등이 있다. 

 

둘째, 항공기의 이륙 또는 착륙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활주로에 설치되는 등화시설로는 활주로등화, 활주로시단등화, 활주로중심선등화, 활주로거리등화, 활주로종단등화 등이 있고, 유도로에 설치되는 등화시설에는 유도로등화, 유도로중심선등화정지선등화, 정지로등화 등이 있으며, 항공기가 공항에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등화시설에는 착륙방향지시등화, 풍향등화, 활주로유도등화 등이 있다. 

 

셋째, 항공기의 안전한 주기와 보안확보를 위한 등화시설에는 항공기주기장식별표지등화, 항공기주기장안내등화, 계류장조명등화, 시각주기유도시스템등화, 장애물 조명등화 등이 있다. 

 

활주로 유도등

 

항공정보통신시설

항공정보통신시설은 전기통신을 이용하여 항공교통업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교환하기 위한 시설로서 항공이동통신시설과 항공고정통신시설 및 항공정보방송시설로 구분된다. 

 

첫째, 항공이동통신시설에는 단거리이동통신시설(VHF/UHF radio), 단파이동통신시설(HF radio), 초단파 디지털 이동통신시설(VDL), 단파데이터 이동통신시설(HFDL), 모드 S데이터통신시설, 항공이동위성통신시설(AMSS), 관제사, 조종사간 데이터 링크 통신시설(CPDLC), 범용접속 데이터 통신시설(UAT) 등의 시설이 있다. 

 

둘째, 항공고정통신시설에는 항공고정통신망(AFTN), 항공정보교환망(AMHS), 항공관제정보교환망(AIDS), 녹음시설 및 음성통신제어시설을 포함한 항공직통전화망, 항공종합통신망(ATN) 등의 시설이 있다. 

 

셋째, 항공정보방송시설에는 공항정보방송시설(ATIS)과 디지털 공항 정보방송시설(D-ATIS)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