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39

항공사의 비용관리 / 항공여객 시장분석 (1) 항공사의 비용관리 비용분류의 전통적인 방법 항공사의 비용은 일반적으로 직접운영항목과 간전운영항목으로 나누는데, 이는 항공사에서 항공운송 서비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비용과 수입을 직접운영항목에서 제외시킴으로서 항공운송 서비스에 따른 비용과 수익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권장하고 있는 간접운영항목으로는 재산과 장비의 처분으로 발생하는 수입과 손실, 은행 등의 대부이자 지불과 이자소득, 항공사의 자회사에서 발생한 비용과 수입, 외국환차이에 의한 이익 도는 손해, 유가증권의 매각에 의한 이익 또는 손해, 정부지원금이나 정부에 대한 지출금 등 다섯 가지를 포함시키고 있다. 직접운영비는 운영되는 항공기의 기종에 관련되어 정해지는 비용으로서 운항하는 항공기의 기종이 변경되면.. 2021. 2. 28.
대형 항공사의 경영전략의 변수 및 당면과제 항공사경영전략의 변수 항공운임 대형 항공사의 경영전략 중에서 항공운임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인 이유로 인해 국가마다 다른 의미를 갖고 있다. 어떤 나라에서는 항공운송 서비스를 국가차원에서 필요한 것으로 인식하여 항공운임수준에는 중요성을 두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어떤 나라에서는 항공운산업 자체의 발전에 중심을 두어 항공운임수준에 비중을 두는 경우도 있다. 외화획득의 수단으로 국제항공사는 적잖은 역할을 하고 있고, 자국항공사의 수지상황에 관계없이 공항사용료 등을 통한 수입도 고려하게 되는 경우 각국 정보의 항공운임에 대한 태도는 매우 복잡하고 일률적이지 않다. 따라서 국제노선에서 항공사전략의 변수로 항공운임수준을 고려할 때는 각 노선별로 개별적이고 복잡한 요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항공사 자체.. 2021. 2. 27.
항공기이용 산업구조에 대하여 항공기이용 산업구조 항공기를 이용하는 산업은 항공기의 이용형태와 사업지역 및 사업규모 등에 따라 일반항공(general aviation), 지역항공사(regional airline), 대형 항공사(major airlines)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일반항공(general aviation)이란 정부로부터 항공운송사업을 인가받은 항공사를 제외한 모든 민간항공활동을 의미한다. 일반항공이 가장 발달한 나라는 미국이라 할 수 있다. 미국의 일반항공에 사용되는 항공기 대수는 약 185,000대로서 총민간항공기 대수의 96%를 차지하고 있으며, 비행거리로 비교하더라도 총민간항공기 비행거리의 80%를 차지한다. 이 항공기들은 회사나 개인사업가의 비즈니스를 위한 여행, 항공기사용사업 등의 영업용, 개인의 취미활동이나.. 2021.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