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39

공항의 기능 및 수행업무 공항의 기능 항공은 항공운송을 위하여 항공기의 도착과 출발 및 지상이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육상 또는 해상에 건설된 비행장과 항공운송에 소요되는 부대시설인 여객 및 화물 취급시설, 항공기의 급유 및 정비시설, 세관, 출입국관리사무소, 검역시설 등의 공공시설과 항공기 안전운항을 위하여 필요한 항공보안시설 등이 포함된 개념이다. 이와 같이 정의되는 공항은 항공운송 시스템 내에서 육상교통과 항공교통수단 사이의 환승이 이루어지는 장소로서, 또한 공공적 목적을 갖는 기관과 이윤추구의 목적을 갖는 기관이 공존하는 복합조직으로서 매우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상호 연관을 갖으면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크게 보면 공항당국, 항공사, 여객 및 화물의 3자가 항공운송의 시작과 끝 또는 중간기착을 위하여 주요구성요소로서 활동하는.. 2021. 2. 20.
항공기이동지역의 안전관리활동 항공기이동지역의 안전관리활동 항공기이동지역에서의 안전관리활동은 공여과 터미널간을 연결하는 공간인 항공기이동지역의 안전관리활동으로, 항공기가 활주로에 착륙하여 유도로를 거쳐 계류장 내 주기장까지 이동하여 주기하거나 그 역순과정으로 항공기가 이륙하는 공간 내에서 일어나는 일체의 안전관리활동을 말한다 .항공기 이동지역 내에서의 안전관리활동에는 항행안전무선시설, 항공등화시설, 항공관제통신시설, 항공기 이착륙시설의 지원 시설인 착륙대 등에서의 안전관리활동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안전관리활동은 시설에 대한 점검과 감시, 그리고 유지 및 보수 활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활주로와 유도로에서의 안전관리활동으로는 시설점검과 이물질(FO) 제거, 고무퇴적물 제거, 활주로 노면의 미끄럼측정과 그 결과의 .. 2021. 2. 19.
항공기 사고의 정의에 대하여 항공기 사고의 정의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는 항공기 사고를 승무원이나 승객이 항공기에 탑승한 후부터 내릴 때까지의 사이에 그 항공기가 운항함으로써 일어난 사람의 사망, 부상, 항공기의 손상 등 항공기와 관련된 모든 사고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또한, 항공기 사고에는 포함되지 않지만, 항공기의 운항안전에 큰 위협이 되었다거나 또는 그럴 가능성이 큰 사건들을 준사고라고 한다. ICAO에서 발표되는 항공기 사고의 통계숫자는 정기항공운송사업에 국한된 것이기는 하나, 1945년부터 1972년 사이 30년이 못되는 기간에 여객운송실적(여객수, 운항거리)은 약 70배로 증가한 반면, 항공기 사고로 인한 여객의 사망률(여객인 km 당 사망자 수 )는 1/14로 감소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우리나라 항공.. 2021.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