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39

지상조업지원업무 (2) - 전원, 연료 등 공급 / 항공기 하역 및 청소업무 항공기 전원 및 연료 등 공급업무 항공기에 대한 전원 및 연료와 윤활유공급(fueling)은 항공운송사업자가 직접 급유하는 방법과 항공기에 연료, 윤활유를 항공기급유업 등록을 한 자에게 위탁하여 하는 경우가 있는데, 항공기에 대한 연료공급업무는 오염되지 않은 항공유를 정확한 양이 안전한 방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첫째, 대부분의 항공기는 지상에 계류하는 동안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동력공급장치(Auxiliary Power Unit: APU)를 구비하고 있지만, 항공사는 연료비용의 절감과 계류장의 소음을 감소하기 위하여 지상전원공급장치의 사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환경적인 이유로 보조동력공급장치의 사용이 엄격하게 제한되는 공항도 있으며, 지상전원은 해당 공항 항공사 또는 지상조업체의 이.. 2021. 2. 18.
지상조업지원업무 (1) - 항공기 유도 및 견인업무 지상조업지원업무 지상조업이란 항공기의 출발지, 경유지, 목적지 공항에서 항공기 운항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지원업무를 말하는데, 포괄적으로는 공항에서 수행되는 승객의 탑승수속, 수하물의 접수, 탑재, 하기, 화물의 접수, 보관, 하역, 항공기의 급유, 정비, 항공기의 청소, 운항관리 등의 업무를 모두 의미한다. 그러나 좁은 의미의 지상조업은 여객의 탑승과 하기를 위한 램프 서비스, 수하물과 화물의 탑재와 하기 서비스, 기내청소 및 기내식 공급업무, 항공기 세척 등의 업무로 한정된다. 항공기에 대한 지상조업업무는 항공운송사업자가 직접 담당하는 경우와 항공기 지상조업체 또는 다른 항공운송사업자에게 위탁하여 시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대부분의 유럽공항에서는 공항운영자가 지상조업을 직접 수행하는 경우가 있으나, 대.. 2021. 2. 18.
운항관리의 내용 3가지 운항관리의 내용 항공사는 안전운항과 운항규정에 합당한 업무추진을 위하여 1일단위 운항관리업무를 수행하며, 인가된 운항방식, 운항의 복잡성 정보, 통신수단의 오류, 비행준비, 업무수행에 참여하는 종사자에 따라 항공사의 운항관리 시스템은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다음의 세 가지 운항관리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는 체계로 구축되어 있다. 비행계획 시스템(Flight Planning System) 모든 업무는 시작단계에서부터 제대로 된 계획이 중요하지만, 안전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비행계획의 경우는 특히 사전계획이 중요하다. 따라서 법적으로도 항공사는 유자격 운항관리사를 채용하여 운항관리 및 통제업무를 수행해야 하며, 운항관리사가 비행계획서를 작성한 후 기장과 합의하여 서명을 해야만 그 항공편의 비행이 시작될 수 .. 2021.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