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상조업지원업무 (2) - 전원, 연료 등 공급 / 항공기 하역 및 청소업무

by 고운뉴스 2021. 2. 18.

항공기 전원 및 연료 등 공급업무

항공기에 대한 전원 및 연료와 윤활유공급(fueling)은 항공운송사업자가 직접 급유하는 방법과 항공기에 연료, 윤활유를 항공기급유업 등록을 한 자에게 위탁하여 하는 경우가 있는데, 항공기에 대한 연료공급업무는 오염되지 않은 항공유를 정확한 양이 안전한 방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첫째, 대부분의 항공기는 지상에 계류하는 동안 동력을 공급하기 위한 보조동력공급장치(Auxiliary Power Unit: APU)를 구비하고 있지만, 항공사는 연료비용의 절감과 계류장의 소음을 감소하기 위하여 지상전원공급장치의 사용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환경적인 이유로 보조동력공급장치의 사용이 엄격하게 제한되는 공항도 있으며, 지상전원은 해당 공항 항공사 또는 지상조업체의 이동용 장비에 의해 공급되거나, 계류장 또는 탑승교에 설치된 케이블과 연결된 전원공급시설로부터 동력을 공급받는다. 

 

항공기가 보조동력공급장치를 가동하지 않고, 장시간 계류하고 있는 경우에 항공기의 적절한 내부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적인 이동용 난방 또는 냉방장치가 필요하다. 항공사는 이러한 장비의 가용성을 확보할 책임이 있으며, 항공기의 연료비용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최근에는 일부 공항이 탑승교로부터 공기를 공급하는 중앙집중식 공기압축장치와 탑승교에서 이동용 압축기를 운용하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은 난방, 냉방용 공기 및 엔진을 시동시키는 고압의 공기를 공급한다. 고정된 공기압축 시스템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개별 항공기별로 난방 혹은 냉방을 조종석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항공기에 장착된 보조동력공급장치를 구동시키는 데에 높은 비용이 소요된다고 볼 때, 공기압축 시스템의 사용은 훨씬 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항공기의 결빙방지와 세척을 위하여 항공기 동체와 날개에 제빙액을 분사하고, 특히 조종석 창문, 날개, 엔진, 객실창문 등 항공기를 세척하는 데에 적합한 다용도장비인 자체추진 탱크장치는 분사 혹은 다양한 정비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안정적인 수직강하판을 구비하고 있다. 뮌헨과 같은 몇몇 공항에서의 항공기 제빙작업은 제빙용 주기장에 설치된 거대한 제빙시설을 항공기가 통과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항공기에 급유를 하는 모습

 

둘째, 항공기에 대한 연료는 이동용 유조차난 계류장에 설치된 Hydrant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급되는데, 공급되는 항공유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유하기 전에 철저한 시험과정을 거쳐 항공기에 급유한다. 대부분의 공항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연료공급체제를 같이 운영하는데, 이는 공급자로부터 저렴한 가격으로 안전하게 연료를 공급받기 위한 것과 계류장 운영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대규모공항에는 대부분 Hydrant 시스템을 확보하고 있으나, 유사시에 대비하여 이동용 유조차에 의한 연료공급체계도 확보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아울러, 오일공급과 기타 필요한 장비용 유류공급은 연료공급이 진행되는 동안에 함께 이루어진다. 

 

 

항공기 하역 및 청소업무 등

항공기 하역업무는 공항에서 화물이나 수하물을 항공기에 싣거나 항공기로부터 내려서 분류 및 정리하는 업무, 화물이나 수하물을 항공기에서 화물청사 또는 여객청사까지 운송하는 업무, 화물청사에 접수된 화물이나 여객청사의 수하물을 분류, 정리하는 업무, 화물이나 수하물을 화물청사 또는 여객청사로부터 항공기까지 운송하는 업무로서 이들 업무는 화물청사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계쥬장에서 이루어진다. 항공기 하역업무는 항공사가 직접 수행하는 경우와 항공기 하역업 등록을 한 지상조업 회사에게 위탁하여 수행하는 경우가 있으며, 유럽의 일부 공항에서는 이들 하역업무를 공항운영자가 직접 담당하는 경우도 있다. 

 

항공기 하역업무는 대부분의 공항에서 하역장비에 의하여 수행되고 있으며, 하역장비로는 화물청사나 여객청사와 항공기간에 화물이나 수하물을 이동하는 무동력장비인 Dolly와 자체 동력이 없는 Dolly를 견인하기 위한 Tug Car가 있고, 항공기에 화물을 탑재 또는 하기 하는 데에 사용되는 High Loader가 있으며, 그 외에도 단위탑재용기(ULD)에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장비인 Forklift와 Tomiruc이 있고, 이와 같이 화물의 적재작업이 완료된 상태의 ULD를 수평으로만 이동할 수 있는 장비인 Transfer Vehicle이 있다. 아울러, 단위탑재용기(ULD)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비인 ETV(Elevating Transfer Vehicle) 등의 장비가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다. 

 

계류장에서 항공기에 대한 지상조업업무는 위에서 설명한 업무 외에 항공기의 기체에 대한 세척, 방빙, 제빙작업 등이 있고, 항공기의 기내를 청소하고 기내식과 물품을 제공하는 업무가 있다. 

 

항공기 기내식 제공업무와 기내 청소업무는 탑승여객이 모두 하기한 후 즉시 실시된다. 이 업무 역시 항공사가 직접 수행하는 경우와 항공기 지상조업사업의 등록을 한 자에게 위탁하여 수행하는 방법이 있는데, 대부분의 항공사가 지상조업사업자에게 위탁하여 실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국적항공사들도 수행되는 업무난이도, 인건비 등을 고려하여 별도의 자회사를 설립하여 이들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기내식 제공업무는 음식물과 음료수는 출고에서부터 여객에게 제공될 때까지 전과정이 국제적으로 합의된 위생에 관한 표준에 적합하여야 하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항공사의 모기지 공항에서 공급되는 것이 보통이다. 항공기 외부의 계류장에서 항공기의 운항지원업무가 수행되는 동안에 기내에서는 청소업무가 이루어지는 동시에, 승객에게 제공될 기내식, 음료수 등이 항공기에 탑재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