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39

접근관제소와 관제탑, 항공교통관제허가 내용 접근관제소 접근관제소(Approach Control: AC)는 공항에 착륙하기 위하여 접근하거나 공항에서 이륙한 항공기에 대한 접근관제업무를 수행하는 기구로서 고밀도 교통지역인 공항 주변공역의 항공교통을 감시하고, 항공기를 원활하게 소통시키는 업무를 수행한다. 접근관제소는 공역여건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공항관제탑책임구역으로부터 통상 50N/M 이내, 고도 17,000ft 이하의 접근관제공역 내에서 비행하는 항공기의 관제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보유하고 있다. 접근관제구역은 통상적으로 국지지역이라 명하며, 하나의 접근관제시설이 몇 개의 공항에 대한 항공교통관제업무를 담당한다. 국지 레이더접근관제소(Teminal Radar Approach Control: TRACON)의 장비는 항공교통량이 많을 경우 자동화.. 2021. 2. 17.
항공교통관제업무 (1) - 항공교통관제소 항공교통관제업무 항공교통업무는 운항 중인 항공기간의 충돌방지, 공항의 기동지역내 항공기와 장애물간의 충돌방지, 항공교통의 신속한 처리와 질서있는 흐름유지, 안전하고 효율적인 비행에 유용한 조언 및 정보의 제공, 수색 및 구조를 필요로 하는 항공기에 대한 지원목적 등을 위해 제공되는 업무를 항공교통업무(Air Traffic Service)라고 한다. 항공교통업무는 항공교통관제업무와 비행정보업무, 정보업무로 나누어지며, 항공교통관제업무는 다시 항공로관제업무와 접근관제업무 및 비행장관제업무로 세분화 되어진다. 항공기의 안전과 운항에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항공교통관제업무는 매우 중요한 업무이기 때문에, 항공교통관제기구의 조직구성체계와 업무의 운용책임의 한계 및 이를 지원하는 항공보안시설이 무엇인가를 정확하게 이해.. 2021. 2. 17.
항공등화시설과 항공정보통신시설에 대하여 항공등화시설 항공등화시설은 야간이나 기상상태가 좋지 않은 주간에 불빛에 의하여 항공기의 항행 또는 착륙을 돕기 위한 항행안전시설로서 비행장의 위치나 활주로와 같은 착륙시설의 위치와 거리를 표시해주는 등화시설과 착륙하는 항공기에 착륙방향이나 진입각도를 알려주는 등화시설이 있다. 항공등화시설은 그 용도에 따른 40여 가지의 등화시설이 있는데, 크게 나누면 공항의 위치 또는 공항까지의 거리를 표시해주는 등화시설, 항공기의 이륙 또는 착륙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기위한 등화시설, 항공기의 주기와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등화시설로 구분된다. 첫째, 공항의 위치 또는 거리를 표시해주는 등화시설에는 비행장등대, 비행장식별등대, 진입등화 시스템, 진입각지시 등화시설, 접지구역 등화시설 등이 있다. 둘째, 항공기의 이륙 또는.. 2021.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