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사의 비용관리
비용분류의 전통적인 방법
항공사의 비용은 일반적으로 직접운영항목과 간전운영항목으로 나누는데, 이는 항공사에서 항공운송 서비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비용과 수입을 직접운영항목에서 제외시킴으로서 항공운송 서비스에 따른 비용과 수익을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서 권장하고 있는 간접운영항목으로는 재산과 장비의 처분으로 발생하는 수입과 손실, 은행 등의 대부이자 지불과 이자소득, 항공사의 자회사에서 발생한 비용과 수입, 외국환차이에 의한 이익 도는 손해, 유가증권의 매각에 의한 이익 또는 손해, 정부지원금이나 정부에 대한 지출금 등 다섯 가지를 포함시키고 있다.
직접운영비는 운영되는 항공기의 기종에 관련되어 정해지는 비용으로서 운항하는 항공기의 기종이 변경되면, 직접운영비용의 내용도 바뀐다. 승무원의 인건비 및 경비, 연료 및 오일비용, 정비 및 수리비용, 항공기감가상각비, 공항사용료 등이 직접운영비용 항목에 포함된다. 반면에, 간접운영비는 항공기의 기종에 따른 항공운항에 직접 연관되지 않는 비용으로서 주로 항공여객과 관련된 비용이다. 여객 서비스 비용, 티켓발권이나 판매에 관련된 비용, 지상비용 및 일반행정비용 등이 간접운영비용의 항목이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직접운영비와 간접운영비의 구분이 항상 명확한 것은 아니다.
항공사비용의 경향
항공사비용의 항목별 분포는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기운송 항공사의 운영비용의 50~60%가 직접운영비용이었고, 나머지가 간접운영비용이었다. 직접운영비에 영향을 가장 크게 미치는 항목은 연료비인데, 1988년과 1992년의 직접운영비가 1980년이나 1983년보다 상대적으로 줄어든 것은 항공유가격의 인하에 기인했다고 볼 수 있다. 항공기술의 발달과 와이드 바디 항공기의 도입은 정비비와 감가상각비를 낮추는 역할을 했고, 이 비용들의 비중이 1980년대에 약간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대형 항공기의 구입가는 비싸지만 좌석수가 많아 단위좌석당 감가상각비는 낮아지게 되었다.
간접운영비를 살펴보면 발권, 판매, 판촉비의 비중이 계속 증가되었음이 눈에 띄며, 일반행정비의 비중도 증가추세를 보여왔다.
항공여객 시장분석
여행목적에 따른 시장의 세분화
여행목적에 따라서는 비즈니스 여행시장과 관광 및 레저 여행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비즈니스여행은 여행비용을 회사에서 지불해 주지만, 관광 및 레저여행은 대부분 자신의 돈으로 여행비용을 충당해야 한다는 점이 큰 차이점이다. 관광 및 레저여행은 개인적인 휴가여행, 친지방문여행, 기업에서 제공하는 인센티브관광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여행거리에 의한 시장의 세분화
항공노선의 거리에 따라 소비자들의 욕구가 달라지므로 여행시장을 장거리시장과 단거리시장으로 구분하는 것도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을 위해 필요하다. 또한, 직항노선시장과 연결비행노선시장으로 나누어 소비자 욕구를 파악해야할 필요도 있을 것이다.
문화 또는 국가별 시장의 세분화
항공여객의 문화 또는 여객의 출발국가에 따른 차별화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소홀히 취급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선진국의 비즈니스 여행자와 개발도상국의 비즈니스 여행자의 여행 스타일은 매우 다를 것이며, 회교국가 관광 및 레저여행자의 욕구와 기독교문화권 관광 및 레저여행자의 욕구가 같을 수 없을 것이다 .그 밖에도 연령 및 성별 등 인구통계학적 기준, 직접과 소득수준, 교육수준 및 사회적 신분 등 사회경제적 기준에 의해 항공여객시장을 세분화하여 고찰할 수도 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사의 가격정책에 대한 이야기 (0) | 2021.03.03 |
---|---|
항공여객 시장분석 (2) - 비즈니스 / 관광 및 레저 여행자의 욕구 (0) | 2021.03.01 |
대형 항공사의 경영전략의 변수 및 당면과제 (0) | 2021.02.27 |
항공기이용 산업구조에 대하여 (0) | 2021.02.26 |
공항의 Land Side 운영 시스템 (0) | 2021.02.25 |
댓글